가뭄 끝에 단비 같은 소식이었다. 한국교회의 위상 추락에 대한 자조와 불신, 비관이 팽배한 가운데 가칭 한국교회총연합회(한교총)를 출범키로 합의한 것은 한국교회 성도들에게 주는 최고의 새해 선물이었다. 한국교회가 131년 선교역사상 처음으로 ‘빅텐트’ 아래 함께함으로써 교회는 물론 국가와 사회적으로도 긍정적인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기대된다. 한교총 출범의 ‘3대 관전 포인트’를 제시한다.
주요 교단, 연합사업 주역으로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와 한국교회연합(한교연)의 분열구도는 5년 넘게 지속됐다.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고신 등의 중대형 교단은 지리멸렬한 분열상에 염증을 느꼈고 연합기관 운영에서 손을 놔 버렸다.
그 틈을 비집고 들어온 것이 이단세력과 군소교단이다. 군소교단들은 대개 교육부 인가 신학교를 갖고 있지 않다. 교단운영의 투명성이나 신학적 정체성이 약하다 보니 공신력 있는 ‘울타리’로 보호 받으려 한다. 한기총과 한교연에 적극 가입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대표적인 예가 정서영 한교연 대표회장이 소속된 예장합동개혁이다. 회원교회가 3620여개에 달한다고 하지만 신학교는 무인가다. 정규 신학교보다 ‘짧은’ 목회자 양성과정을 통해 목회자를 배출한다.
이제 주요 교단이 연합사업의 주역으로 뛰어들면 5%에 불과한 교세로 한국교회를 좌지우지한 군소교단들의 ‘춘추전국’ 시대는 해소될 전망이다. ‘빅텐트’에는 이단관련 교단이나 개인은 진입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
교계 한 인사는 “한국교회가 일치돼 있었다면 무인가 신학교를 운영하는 정 대표회장은 대표회장 출사표도 던지기 어려웠을 것”이라며 “한국교회의 95%를 차지하는 장·감·성·순·침 주요 교단이 전면에 나선 만큼 교계의 수준도 업그레이드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왜곡된 교회정치 구조 타파
한교총이라는 ‘빅텐트’에 한기총과 한교연이 흡수·합병되면 왜곡된 교회정치 구조도 대폭 개선된다. 그동안 교단은 연합기관에 매년 수천만∼수억원의 상회비를 납부해왔다. 예장통합은 올해 한교연에 8731만원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에 1억5678만원을 납부했다. 그러나 한교연은 한국교회 연합을 반대했고 NCCK는 동성애자인 김조광수 초청 강연을 해 물의를 빚었다. 현장 목회자들과 성도들의 정서와 동떨어진 사업에 헌금이 사용된 것이다.
손인웅 실천신학대학원대 총장은 “교단 대표들은 ‘한국교회의 사활이 걸린 과제’라는 굳은 결심과 사명의식을 갖고 한교총의 시스템을 탄탄하게 만들어 달라”면서 “새로운 정치구조를 만들어 이단척결, 선교, 통일문제, 교역자 수급 등 중요한 의제들을 설정하고 한국교회와 사회에 희망을 제시해 달라”고 당부했다.
대외창구 단일화…사회적 영향력 확대
‘빅텐트’가 만들어지면 군소교단 대표들은 설 자리가 대폭 줄어든다. 이들이 한기총과 한교연 양대 연합기관의 ‘자리’ 400여개 중 상당수를 차지하면서 나타났던 콘텐츠 저하 문제도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7대 교단이 앞장서 한기총과 한교연의 흡수·통합을 결의하고 리모델링한다면 공신력 있는 단일창구가 생긴다. 한교총이 한국교회를 대표해 정부를 상대로 교회현장의 목소리를 내놓고 바른 영적 가치를 제시할 수 있게 된다.
김경원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 대표회장은 “현직 총회장들이 한교총 출범이라는 결단을 잘 내렸다. 아주 고무적”이라면서 “한교총이 교회의 하나 된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는 창구역할을 효과적으로 해 달라”고 부탁했다.
글=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 사진=강민석 선임기자, 그래픽=이영은 기자
'기독교 > 신앙칼럼,뉴스,시,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도의 힘 중명하는 세 천사 (0) | 2016.12.31 |
---|---|
기독문학 기행 / 정연희 - 내 잔이 넘치나이다 (0) | 2016.12.31 |
올해 기독교 최고의 책 - 한나의 아이 (국민일보 선정) (0) | 2016.12.30 |
17년째 '얼굴없는 천사' 올해도 총 5억 기부 (0) | 2016.12.29 |
한인 최초 미백악관에서 기도하신/ 한기홍 목사 (0) | 2016.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