렘브란트 작 ‘탕자의 귀향’
“오래 집을 비운 동안 환상에 빠져 허우적대며 자신에 대한 환멸을 느낀 탕자는 그가 갈구했던 이 궁핍한 생활의 밑바닥에서 아버지의 얼굴을 떠올렸다. 침대 위로 어머니께서 굽어 살펴주시곤 하던 널찍한 침실도, 물줄기가 흐르며 촉촉하게 젖어 있던, 그러나 울타리가 쳐져 있어 그가 언제나 도망치고 싶어했던 그 드넓은 정원도, 인색한 형의 얼굴도 떠올랐다.”(‘탕자, 돌아오다’ 중)
20세기 프랑스 문단을 대표하는 앙드레 지드(1869~1951·아래 사진)의 단편 소설 ‘탕자, 돌아오다’(1907년)의 첫 문단이다. 누가복음 15장에 기록된 ‘돌아온 탕자’ 이야기를 각색한 작품이다. 성경의 ‘돌아온 탕자’ 이야기는 너무나 유명하다. 재산을 미리 상속받은 아들이 먼 나라로 가서 방탕의 세월을 보내다 비참한 돼지치기로 전락한 후 회심해서 아버지 집으로 돌아와 용서를 구하는 내용이다.
소설 ‘탕자, 돌아오다’는 죄인을 용서하는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을 이야기하는 성경과 달리, 둘째 아들이 왜 집을 나갔으며, 왜 다시 돌아왔는가에 대해 탕자의 입장에서 서술한다. 작품은 굶주림을 못 이겨 집에 돌아온 탕자의 입장에서 아버지와의 대화, 형과의 대화, 어머니와의 대화, 동생과의 대화로 구성됐다. 작품은 형으로 상징되는 종교의 억압을 비판하고, 안전하지만 삶의 기쁨을 느낄 수 없는 집을 떠나 자유와 행복을 찾아 떠나는 ‘광야의 영성’을 그려 냈다. 소설에서 ‘집’ ‘아버지’ ‘형’이 상징하는 의미를 음미하며 읽으면 새로운 신앙적 관점이 생긴다.
아버지의 집
탕자는 ‘아버지 집’의 의미를 찾기 위해 집을 나와 많은 시련과 고통을 당했다. 소설에서 가장 눈길이 가는 대목은 아들이 ‘아버지’와 ‘집’은 다르다고, 즉 ‘하나님’과 ‘교회’는 다르다고 말하는 장면이다.
“얘야, 내 곁을 떠났던 이유가 뭐냐?”라고 묻는 아버지의 질문에 아들은 “아버지, 제가 정말로 아버지 곁을 떠난 거로 생각하세요? 아버지의 존재는 도처에 있지 않습니까? 저는 한 번도 아버지를 사랑하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라고 말한다.
탕자에게 집은 ‘울타리가 쳐져 있어 그가 언제나 도망치고 싶어했던 곳’이었다. 탕자는 왜 그렇게 좋은 곳을 버리고 나갔을까. 형은 상속자의 권리를 주장하는자, 형식과 질서를 부르짖는 바리새인, 권위에 찌든 교회지도자의 상징이다. 탕자는 하나님 아버지에겐 복종하지만, 장차 자신이 하나님이 되려는 상속자 형에겐 반감을 느낀다. 작가가 하나님을 부정한 것이 아니라 유럽의 강력한 종교 제도와 유럽의 바리새인 같은 종교지도자들을 비판한 것이다.
결국 탕자가 떠난 것은 아버지가 아니라 집이었다. 그 집은 아버지의 집이 아니라 형이 있는 곳이고 언제나 자신을 가두는 곳이기 때문에 나갈 수밖에 없었다고 탕자는 고백한다. 사람들은 아버지를 집에 가둬 놓고, 그 집을 떠나면 평화와 행복이 없다고 가르친다. 탕자는 그런 사람들이 있는 집이 숨 막혀 도망쳤다. 탕자는 아버지를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집을 나가도 아버지를 떠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집에 있으나 집을 나가나 아버지의 사랑은 그대로이고 아버지를 믿는 신앙에도 지장이 없다는 것이다. 예배당에만 하나님이 계시는 게 아니란 것이다.
‘탕자, 돌아오다’의 반전은 마지막 부분이다. 돌아온 탕자를 대신해 그의 아우가 집을 나가고 탕자 형이 등불을 들고 동생을 배웅하는 것으로 소설은 끝난다. 탕자의 독백이 여운으로 남는다.
“나는 실패했다. 너 역시 실패하고 돌아올지 모른다. 그러나 너의 동생이 있고 또 그 동생의 동생이 나올 것이다. 우리 형님 같은 유산 상속자가 아니라 집을 나가는 상속자들이 계속 나올 것이다. 비록 나처럼 지쳐서 돌아올지라도 그러면 또 다른 동생이 어느 날 새벽에 야생석류를 가지고 집을 뛰쳐나갈 것이다.”
지드는 서문에 “나는 내가 그린 이 그림 속에서 탕자와 짝을 이루어 그와 같이 미소 짓는 동시에 얼굴이 눈물범벅이 돼 무릎을 꿇고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영광스러운 승리자의 웃음이 아니라 뭔가를 구하다 좌절해 무릎 꿇은 자들의 눈물로 얼룩진 미소는 집을 나가본 사람만이 안다는 것이다. 하나님께 무릎 꿇은 탕자는 바로 자신임을 고백한 것이다.
깨진 무릎 속에 계신 주님
집은 떠나기 위해 존재한다. 떠나고 돌아오기를 반복하면서 우린 성장한다. 집을 떠났을 때 뭔가 ‘더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것 없어도 좋으니 집을 떠나지 말라”는 우리의 보통 정서 대신 “그것을 찾기 위해 집을 떠나라”가 영성 작가 지드의 위대한 조언이다.
우리는 안전한 장소에서 그저 살아남기 위해서가 아니라 성장하기 위해서 이 세상에 태어났다. 인간의 입맛에 길든 열매가 아니라 들판에서 추운 겨울을 견디며 버틴 열매의 맛이 우리 인생의 맛이다. 소설 속 탕자는 시디신 야생 석류조차 달게 느껴지는 지독한 ‘갈증’을 찾기 위해 광야로 나갔다. 그리고 “마음이 텅 비었기에 아버지의 사랑이 내게로 들어왔지 맛있는 음식을 먹을 때는 아버지 사랑의 들어올 여지가 없었다”는 걸 깨닫는다.
또 하나님은 광야에도 있고 야생의 석류 맛 속에도 있으며 걷다가 깨진 무릎 속에도 계시다는 것을 체득한다. “내가 너에게 가르쳐 주려 하는 사랑은 갈증을 풀어주는 사랑”이란 탕자 아버지의 말이 또렷하게 들리는 듯하다. 영원히 목마르지 않을 생수를 찾아 떠나는 것은 순례의 길이기도 하다. 그 순례길의 마지막은 아버지의 품이어야 한다. ‘돌아온 탕자’는 지드뿐 아니라 일상에서 일어나는 우리 자신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앙드레 지드만큼 평가가 구구각색인 사람도 드물다. 한편에선 ‘현대의 양심’이라고 존경하고 한편에서는 ‘위험한 배덕자’라고 공격했다. 지드의 문학적 매력은 규정할 수 없는 다양성에 있다. 많은 지드 연구자들이 지적하고 있듯이 지드의 삶의 과정과 작품의 성격을 규정하는 결정적 요소 중 하나가 성경이다.
그는 삶의 추구대상이 ‘신의 실존’이 아니라 ‘인간이 신을 발견해 내는 길’이라고 믿었다. 자신의 내부에서 진실을 찾으려 했다. 그의 작품은 전반적으로 이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소설 ‘배덕자’는 악덕을 중심으로 기성 종교로부터 해방된 과도한 개인주의의 위험을 경고한다. 그의 대표작 ‘좁은 문’은 미덕을 중심으로 지나친 신비주의 신앙의 위험을 고발한다. ‘전원교향악’은 청교도적인 도덕 규범에 대한 순응과 반발로 일관해온 자신의 내면세계를 상징적으로 담고 있다. 그는 성경을 자신의 문학적 상상력의 토대로 삼아 이를 기반으로 풍요로운 창작을 펼쳐 나갔으며 1947년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이지현 선임기자 겸 논설위원 jeehl@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173726&code=23111312&sid1=mcu
'기독교 > 신앙칼럼,뉴스,시,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립보서 4장 6절 (0) | 2021.01.20 |
---|---|
예배에 대하여 다시한번 생각해 본다. (0) | 2021.01.17 |
미국 대통령 취임식 성경 선서 유래 (0) | 2021.01.09 |
필수 성경 암송 1000절 반복 듣기 (0) | 2021.01.06 |
물방울의 의미 - 김창렬 화가 (0) | 2021.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