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ta-src="http://ncc.phinf.naver.net/20150724_137/14377223538840q8HY_JPEG/1.jpg">
금속 원자는 자신만의 독특한 불꽃 색깔을 낸다. 맨 왼쪽 진홍색이 스트론튬, 가운데 노란색이 나트륨, 오른쪽 녹색이 구리다. <출처: © TongRo Images/SPL>
오늘날 물리학이 연구하는 분야 가운데 가장 오래된 분야는 아마도 빛을 연구하는 분야인 광학일 것이다. 빛은 누구나 느낄 수 있으면서도 가만히 보면 볼수록 신기한 현상이기 때문이다. 고대 이집트 시대에 이미 인간은 거울을 만들어 사용했고,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빛의 본질에 대해서 논하고 있었다. 기원전 사람인 알렉산드리아의 헤론은 빛은 두 점 사이의 가장 짧은 경로로 지나간다는 법칙을 제안했다. 다른 모든 과학이 그렇듯 광학도 17세기에 크게 발전했다. 망원경이 발명되었고, 네덜란드 레이든 대학의 스넬(Willebrord Snellius, 1580-1626)은 빛의 굴절을 설명하는 법칙을 발견했다.
빛을 나누다
분광학은 위대한 뉴턴으로부터 시작했다. 뉴턴에게도 광학은 중요한 주제였다. 뉴턴의 명성이 주로 역학의 법칙과 중력의 법칙 때문에 얻어진 것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당대에는 상당 부분 광학의 업적에 기인했다고 해야 할 것이다. 뉴턴은 최초로 실용적인 반사 망원경을 제작했으며, 햇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 백색의 빛이 여러 가지 색깔의 빛으로 나누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빛은 여러 색깔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빛을 여러 색깔로 나누어 놓은 것을 빛의 스펙트럼, 혹은 분광이라고 부른다. 뉴턴은 빛을 아주 작은 입자들의 모임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역학을 이용해서 빛을 해명하려고 했다. 그러나 빛은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니었다. 뉴턴의 입자 가설로는 빛의 모든 성질을 다 설명할 수 없었다. 1803년 토머스 영(Thomas Young, 1773-1829)이 빛이 간섭한다는 것을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빛은 뉴턴이 생각한 것처럼 입자가 아니라 파동 현상임이 결정적으로 확증되었다. 영의 실험 이후 빛의 간섭 이론은 아라고와 프레넬 등에 의해 발전했고 다양한 광학 기기가 개발되었다.
햇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서 여러 색깔의 빛으로 나뉜다. <출처: © Bitesize>
광학 기기의 발전을 이끈 프라운호퍼
19세기 초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광학 제조 회사는 프라운호퍼의 회사였다. 이 회사의 주역인 요제프 프라운호퍼(Joseph Fraunhofer)는 누구 못지않게 인생에서 전화위복이란 것을 실감나게 경험한 사람이다. 평범한 유리가게의 열한 번째 아들로 태어난 (그중 일곱은 어려서 사망했다) 그는 열한 살 때 부모를 모두 잃고 고아가 되어서, 1799년부터 고향을 떠나 바이에른 주의 주도인 뮌헨에 있는 바이크젤버거(Weichselberger)라는 사람의 공방에서 도제 생활을 시작했다. 당시 바이에른 주에서는 아직 의무교육이 시행되지 않고 있었으므로 어린 요제프는 제대로 학교를 다닌 적이 없었다. 게다가 그를 맡은 바이크젤버거는 엄한 주인이었다. 공방에서 요제프는 일을 배우는 한편, 당시 대부분의 집이 그랬듯이 집안일도 도와야 했기 때문에 따로 공부를 할 시간 따위는 없었다. 주인은 그가 일요일에도 학교에 가지 못하게 했다. 요제프는 책을 읽고 공부를 하는 것만이 소원이었다.
2년이 지났을 때 그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놓은 사건이 일어났다. 공방과 집이 무너져서 그 안에 있던 사람들이 모두 깔리는 사고가 일어난 것이다. 이 사고로 주인의 아내가 죽었고 요제프도 무너진 집 안에 갇혔는데, 기적적으로 요제프는 크게 다치지 않고 4시간 후에 구출되었다. 위험을 넘겼을 뿐 아니라, 이 사고 덕분에 요제프는 앞으로 그의 인생을 바꿔놓은 두 사람을 만나게 된다. 한 사람은 훗날 막스 1세가 되는 막시밀리안 요제프(Maximilian Joseph) 왕자였고 다른 한 사람은 정부의 고위 관료였던 요제프 우츠슈나이더(Joseph Utzschneider)였다. 구조작업을 지휘한 사람이 바로 막시밀리안 왕자였고 우츠슈나이더 역시 구조작업 때문에 현장에 나왔기 때문이었다. 이 사건의 생존자로 요제프 프라운호퍼는 조금 유명해졌고, 덤으로 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되었다. 프라운호퍼의 청에 따라 그가 학교에 가는 것을 허락하도록 왕자가 주인에게 명했기 때문이다. 왕자는 프라운호퍼에게 돈도 보태주었는데, 이 돈을 모아 프라운호퍼는 나중에 유리 자르는 기계와 유리를 연마하는 기계를 샀다. 유츠슈나이더는 프라운호퍼의 인생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한다. 훗날 프라운호퍼가 위대한 업적을 쌓은 회사가 바로 우츠슈나이더의 회사였기 때문이다. 우츠슈나이더는 프라운호퍼를 정밀 기기 사업을 하는 자기 회사에 데려와서 광학 사업을 키우게 된다.
장인 정신과 과학적 정신의 결합
요제프 프라운호퍼의 도제 면허증을 보면 1804년 10월까지 바이크젤버거의 공방에 있었던 것으로 되어 있다. 이후 독립한 요제프는 가게를 열었다가 실패하고 다시 옛 주인 공방에 돌아가 객으로 지내는 우여곡절 끝에, 1806년부터 우츠슈나이더의 공방에 나가게 되었다. 이 공방은 공학자인 게오르크 라이헨바흐(Georg Reichenbach)와 우츠슈나이더가 1802년에 지도를 만드는 지리 도구를 제작하기 위해 설립한 곳이었다. 만하임의 군사학교에서 공부한 라이헨바흐는 영국에 가서 제임스 와트 등과 교류하면서 정밀 기기를 만드는 법을 배워 와서 공방을 열었다. 우츠슈나이더가 합류하면서 이 공방은 바이에른 지도국과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처음에는 공방에 광학 부서가 없었는데, 1806년 광학 부서를 만들면서 프라운호퍼가 들어와서 광학 기기를 담당하게 된 것이다.
프라운호퍼는 렌즈를 깎고 연마했고, 다른 한편으로는 광학 이론을 독학하며 기기를 개발했다. 프라운호퍼가 처음에 가진 것은 책 몇 권, 영국산 망원경 몇 개, 그리고 아우구스부르크의 장인 브란트너(Georg Friedrich Brandner)가 만든 기구들뿐이었다. 그러나 타고난 탐구열과 손재주를 가진 프라운호퍼는 고등교육을 받지는 못했지만 스스로 연구하며 기술을 개발해 나갔다. 그는 렌즈를 만드는 과정을 하나하나 분석하고 새로운 기술을 도입했으며, 직공의 솜씨가 서툴러도 렌즈를 제대로 연마할 수 있는 기계를 개발했다. 연마한 재료를 조립하는 방법과 렌즈를 붙이는 접착제도 연구했고, 완전 평면 유리를 이용해서 연마된 렌즈의 모양과 정확한 초점을 검사하는 방법도 개발했다. 이런 우수한 재료와 제작 방법에 힘입어 불과 1년 만에 프라운호퍼가 제작하는 렌즈의 품질은 괄목하게 향상되었다.
이듬해 우츠슈나이더는 광학부를 분리해서 자신의 유리 제조 공방이 있는 베네딕트보이에른 (Benediktbeuern) 근처의 수도원으로 옮겼다. 유리 공방은 우츠슈나이더가 여행 중에 만난 스위스인 귀낭트 (Pierre Louis Guinand)를 초빙해서, 광학부에서 제작하는 유리를 만들기 위해 세운 곳이었다. 우수한 기술과 이론을 갖춘 프라운호퍼는 빠르게 승진해서 1809년에는 광학부를 맡았고, 1811년에는 회사의 경영진이 되었다. 그는 귀낭트로부터 유리 제조법도 배웠으며, 스스로 연구해서 새로운 재질의 유리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1814년 귀낭트가 스위스로 돌아가자, 이제 유리를 만드는 것까지 프라운호퍼의 책임 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 해에 라이헨바흐가 회사를 떠나 자신만의 회사를 차리자 우츠슈나이더는 자신의 회사의 명칭을 “우츠슈나이더-프라운호퍼”로 바꾸고 프라운호퍼를 공동 대표로 승격시켰다.
프라운호퍼는 경험에 의존하는 단순한 장인적인 방법보다 세심하고 체계적인 과학적 방법이 유리하다는 것을 이해하는 사람이었으므로, 기술 뿐 아니라 이론 연구에도 힘썼다. 그의 재능과 노력에 힘입어 과학 실험을 위한 광학 기기를 제조하는데 당대에 프라운호퍼의 회사에 필적할 곳은 없었다. 회사는 천문대를 위한 천체 망원경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망원경과 현미경, '혜성 탐색기', 태양의, 프리즘, 확대경 등의 제품을 거의 자체적으로 생산했다. 품질은 압도적이었다. 한편으로 프라운호퍼는 광학 기기를 이용해서 직접 실험을 하고 연구도 했다. 여러 가지 형태의 슬릿에서 회절 및 간섭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립했고, 나아가서 촘촘히 붙은 수많은 슬릿으로 된 회절격자를 사용해서 빛의 간섭과 분산을 연구했다. 이 방법에 의하면 파장에 따른 효과를 정량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 프리즘을 이용하는 것보다 분해능도 더 뛰어났다. 대학을 나오지 않았지만, 바이에른 과학 아카데미는 프라운호퍼를 서신 회원으로 받아들여서 그의 논문이 발표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독일에서 프라운호퍼의 이런 연구 활동은 아주 이례적인 일이었다. 그는 1824년에 바이에른 주로부터 작위를 받고 대학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다.
태양광 스펙트럼에 나타난 검은 선들
다시 분광학으로 돌아가자. 뉴턴은 빛을 조그만 구멍을 통과시킨 후 프리즘을 지나게 해서 스펙트럼을 얻었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보게 되는 스펙트럼은 원 모양이었다. 영국의 윌리엄 월러스턴(William Hyde Wollaston)은 슬릿이라는 가늘고 긴 구멍을 이용해서 스펙트럼을 관찰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월러스턴은 18세기 말에 백금을 제련하는 실용적인 물리화학적 방법을 개발해서 돈을 많이 벌고, 그 과정에서 얻은 화학 분석 방법을 이용해서 팔라듐(Pd)과 로듐(Rh)이라는 새로운 원소를 발견하기도 한, 모든 과학도가 꿈꿀만한 인생을 보낸 과학자다. 그는 또한 아연판 전지를 발명하고, 전기 모터를 고안했으며, 볼타의 전지에서 나오는 전기가 마찰 전기와 같은 것이라는 것을 보이는 등 수많은 업적을 남겼다. 월러스턴은 광학 분야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슬릿을 이용하는 방법을 고안한 것도 그 하나다. 월러스턴은 햇빛을 프리즘에 통과시키기 전에 우선 슬릿을 통과시켜서, 요즘 우리가 흔히 보는 가로로 긴 띠에 여러 색깔이 나타나는 스펙트럼을 얻었다. 이렇게 하면 스펙트럼을 관찰하기가 훨씬 쉽기 때문에 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다.
월러스턴은 이 방법으로 햇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다가 의외의 현상을 발견했다. 스펙트럼의 일정한 위치에 몇 개의 검은색 줄이 수직으로 나타나는 것이었다. 스펙트럼의 다양한 색깔은 각각이 다른 파장의 빛임을 가리키는 것이고, 검은색 필름에 생긴 검은색 줄은 그 부분에 햇빛이 오지 않았음을 가리키므로, 이 검은 선은 햇빛 속의 수많은 파장의 빛 중에서 특정한 파장의 빛만이 빠져있다는 뜻이다. 월러스턴은 더 깊이 파고들지 않았지만 몇몇 과학자들은 이 현상에 주목했다. 1813년경 프라운호퍼는 월러스턴이 본 것을 더 자세히 연구했다. 훨씬 정밀하고 뛰어난 기술을 가진 프라운호퍼는 회절격자를 이용해서 태양의 스펙트럼을 더욱 정밀하게 관찰하고 실제로는 훨씬 더 많은 검은 선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프라운호퍼가 태양 스펙트럼에서 발견한 검은 선은 574개에 이르렀다. 프라운호퍼는 이들의 위치와 파장을 체계적으로 정리하면서 세기에 따라 A에서 Z까지의 이름을 붙였는데, 이 이름은 지금도 쓰고 있다. 오늘날에는 이 검은 선을 프라운호퍼 선이라고 부른다.
스펙트럼의 선은 원자의 지문
한편 스코틀랜드의 데이비드 브루스터(David Brewster, 1781-1868)는 1822년경 물질이 기화할 때 발생하는 빛을 연구해서 많은 스펙트럼 선을 찾아냈다. 햇빛은 프리즘을 통과하며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만들지만 이렇게 기체에서 나오는 빛은 프리즘을 통과하면 특정한 몇 개의 스펙트럼 선만을 보여주었다. 윌리엄 탤봇(William Talbot, 1800-1877)은 여러 물질을 가지고 분광실험을 한 결과 기화할 때 내는 스펙트럼 선은 원소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프라운호퍼는 태양빛의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검은 선 중 D라고 이름 붙인 두 개의 검은 선의 파장이 나트륨의 분광실험에서 나타나는 선 스펙트럼의 파장과 정확하게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프랑스의 푸코 (Jean Bernard Leon Paucault, 1819-1868)는 태양빛을 나트륨 기체에 통과시킨 후 프라운호퍼 선을 관측하면 D 스펙트럼이 더욱 뚜렷해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결과는 나트륨 기체를 통과하면서 D 스펙트럼에 해당하는 빛이 더욱 많이 사라졌음을, 따라서 나트륨 기체는 D 스펙트럼을 흡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프라운호퍼 선과 원자의 스펙트럼 선이 같은 근원을 가지는 현상임이 드러났다. 1860년경에는 독일의 키르히호프(Gustav Robert Kirchhoff, 1824-1887)와 분젠(Robert Wilhelm Bunsen, 1811-1899)이 이 결과를 더욱 깊이 연구해서 나트륨이 D 스펙트럼을 흡수하기도 하고 발산하기도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들은 이 결과를 일반화시켜서, 모든 원소는 각각 고유한 파장의 빛을 방출할 수도 있고 흡수할 수도 있다고 결론지었다.
왜 특정 원자는 특정 파장의 빛만 내는가?
스펙트럼 선의 패턴은 원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원자가 내는 스펙트럼 선은 원자가 무엇인지를 말해주는 지문 같은 존재다. 따라서 분광법은 화학에서 특정한 원소가 물질 속에 함유되었는지를 알아볼 때 대단히 유용한 분석 방법이 되었다. 또한 이 결과는 천문학에도 중요한 함의를 지니고 있었다. 별빛의 스펙트럼 선을 보면 빛이 어떤 기체를 통과해 온 것인지 알 수 있으므로, 그 별이 어떤 원소를 함유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 프라운호퍼는 태양빛이 반사된 행성의 빛은 태양의 스펙트럼과 유사하며, 다른 별에서 오는 빛은 스펙트럼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제 각각의 원자는 고유의 파장을 지닌 빛과 연관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질이 원자로 이루어져 있다면 이 빛의 패턴은 원자에 대한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이다. 왜 특정한 원자는 특정한 파장의 빛만을 발하는 것일까? 물질과 스펙트럼 선은 어떤 관계가 있는 것일까?
- 글
- 이강영 경상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
-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KAIST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을 전공하여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물질의 근본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6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고, [LHC 현대물리학의 최전선], [보이지 않는 세계], [파이온에서 힉스 입자까지]를 썼다. 현재 경상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기독교 > 창조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조에 드러난 하나님 영광 (0) | 2015.10.30 |
---|---|
스티븐 호킹이 또 틀렸다? (0) | 2015.10.30 |
[스크랩] 교황청 과학자도 외계생명체가 존재할 것으로 믿는다 / 어느 행성에도 생명체는없다. 단지 누군가 너희를 현혹시키려 할 뿐이다. (0) | 2015.09.27 |
[스크랩] 우주에서 본 지구 (0) | 2015.09.20 |
[스크랩] 평생을 가도 보기 힘든 행운의 네쌍무지개 (0) | 2015.08.07 |